159
|
헬스보충식품
|
치커리 화이버
|

- 치커리 화이버

1. 주요성분
이누린 58%, 고미질, 탄닌, 과당, 페쿠틴, 불휘발성 기름, 알카로이드, esculetin, esculin, cichorin, lactucin, lactucopicrin
2. 효능,효과 담즙의 분비를 증가시키므로 담석증의 특효약이며 간장질환의 치료제로 쓰인다. 또 강장제, 건위소화제, 이뇨제, 완하제, 해열제로 쓰이며 변비, 빈혈, 류마티스, 통풍 등의 치료제로 이용된다.항균, 수렴, 소화 촉진 작용이 있다. 알콜에 담근 것은 항균작용, 항염증 작용이 있다.
3. 기타 치커리의 뿌리는 직근이며 굵고 육질이므로 이것을 잘게 썰어 말려서 섞어 가루로 만들어 커피에 넣어 섞어 이용하기도 하고 커피대용으로도 이용한다.
|
158
|
헬스보충식품
|
Leci-PC
|

- Leci-PC

- Leci-PC는 콜린을 보급하고 혈중 콜린 레벨을 높이는 유효한 수단입니다.
근육은 콜린 작동성 신경이 근육 섬유에 전달됨으로써 수축되는데, 그 신호를 전달 하는 분자는 콜린에서 만들어진 아세틸콜린이며, 심한 신체 운동이나 장시간에 걸친 운동으로 콜린이 감소하게 되면, 아세틸콜린도 줄어들어 지구력이나 활동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운동전에 PC를 섭취하게 되면, 콜린농도의 저하가 예방되고 활동 능력을 높이는 효과 가 있으므로 심한 운동이나 오랜 시간에 거쳐 운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PC는 또한 간장의 안전성개선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지난 25년간 수천명의 임상실험을 거친 결과 간장세포를 수복, 복원시켜 간장의 회복 을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놀랍게도 이 기간동안 단 한건의 부작용도 보 고된 바 없다는 점에서 놀라운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57
|
헬스보충식품
|
카르니틴
|

- 카르니틴

1. 카르니틴의 개요
카르니틴은 장쇄 필수 지방산(long-chain fatty acids)을 에너지를 생 산해내는 세포단위인 미토콘드리아로 운반하는 일을 맡고 있는 비타 민적인 화합물이다. 지방을 에너지로 분해시키는데 필수적인 성분이 며, 카르니틴이 결핍되면 미토콘 드리아내의 지방산 농도가 감소하며 그로 인해 에너지 생산도 감소한다.
카르니틴은 1905년 육즙에서 처음 분리되어 1932년 화학구조가 확인 되었으며, 1952년 카르니틴이 음식물에서 생겨나는 벌레인 테네브리 리터의 성장인 자임이 확인된 후부터 비타민 BT로 알려지게 되었다. 다른 생물종들도 카르니틴에 의지하고 있음이 발견되면서 인체에서의 카르니틴의 역할을 고찰하기 시작했다.
2. 카르니틴의 작용기전
지방산의 운반 분자인 아실 코에이(acyl-CoA)가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을 투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방산은 CoA로부터 카르니틴으로 운반되어야 한다. 그러면 아실기-카르니틴 분자가 지방산 분자를 내부 미토콘드리아막의 미토콘드리아 표면으로 운반한다. 아실기-카르 니틴 분자는 미토콘드리아의 표면에서 지방산 분자를 풀어주어 지방산 분자가 에너지로 전환, 즉 연소되는 것이다.
3. 영양공급원
육류와 낙농제품은 카르니틴의 주요한 식이공급원이다. 일반적으로 고기의 색깔이 붉 을수록,카르니틴 함유량이 더 높다. 채소들 속에는 카르니틴이 아주 조금 들어있거나 전혀 없다. 기초연구들의 결과 일일 음식 섭취량 속에 5∼100㎎의 카르니틴이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체내 카르니틴의 대부분은 필수아미노산(메티오닌)과 세 가지 비타민(비타민 C,니아신, 비타민 B6), 철의 도움으로 필수 아미노산 리진으로부터 합성된다. 따라서 이들 영양소들 중의 어느 하나가 결핍되면, 카르니틴 결핍이 발생한다. 카르니틴 형성의 마지막 단계는 간과 신장, 뇌에서 일어난다. 이 마지막 단계에 필요한 효소(butyrobetaine hydroxylase)가 이들 조직들 속에만 있기 때문이다. 이 마지막 단계에 필요한 효소는 대부분 카르니틴 합성을 조절한다. 심장 근육과 골격근 그리고 다른 많은 조직들은 에너지 공급원으로 주로 지방산에 의지한다. 따라서 이 조직들의 정상적인 기능은 이들 조직들로의 정상적인 카르니틴 운반에 달려 있다.
4. 모유와 카르니틴
유아들의 경우, 카르니틴 합성의 마지막 단계에 필요한 이 효소의 활성도가 정상적인 성인의 12%에 불과하다. 2.5세가 되면, 활성도가 성인 평균의 30%에 이른다. 그러나 15세가 될 때까지 이 효소는 완전한 활성도를 보이지 않는다. 이런 자료들은 모유 속에 들어있는 카르니틴이 유아의 영양상태에 중요하다는 것을 반영한다. 신생아들의 카르니틴 농도는 어머니의 카르니틴 농도에 달려 있다. 태아와 탯줄의 카르니틴 농도가 어머니 혈액속의 카르니틴 농도보다 높다. 이는 카르니틴 합성이 완전하게 발달하지 못한 태아를 위해서 태반이 활발하게 카르니틴을 농축시킨다는 것을 알려준다. 카르니틴 합성 장해가 의심되는 여성들의 경우에는 태아와 어머니 모두 조직내에 충분한 양의 카르니틴 농도를 확보하기 위해 임신중에 카르니틴을 보완해야 한다. 임신하지 않은 여성들에 비해 임산부들의 혈중 카르니틴 수치가 더 낮게 나타나는 것은 확실히 태아에 의한 카르니틴 필요량의 증가뿐이다. 신생아들은 외부로부터의 카르니틴 공급에 거의 전적으로 의지하므로 모유를 먹는 유아들은 최적의 카르니틴 농도를 갖고 있는 것이다. 모유 속에 들어있는 카르니틴의 생체 이용도는 모유를 토대로 만들어진 유아 조제식보다 훨씬 더 크다. 강화 식품이 아닐 경우, 콩을 기초로 한 유아 조제식 속에는 카르니틴이 함유되어 있지 않다.
5. 카르니틴 결핍
1) 카르니틴 결핍원인 • 전구 물질인 아미노산 리진과 메티오닌의 식이결핍 • 리진-카르니틴 경로의 효소들에 필요한 보인자(철과 아스코르브산, 피리독신, 니아신등) 결핍 • 유전적인 카르니틴 생체 합성 장해 • 카르니틴의 장내 흡수 장해 • 신장과 간의 기능 장애로 인한 카르니틴 합성 장해 • 이화 작용과 관에 의한 흡수 제거 또는 유전적인 결함으로 인한 대사상의 카르니틴 손실 증가 • 합성 조직들에서 카르니틴이 최대로 이용되는 조직들로의 운반 장애 • 고지방 식이와 약품(일례로, 팔프록산), 대사상의 스트레스, 질병으로 인한 카르니틴 필요 량 증가
(1) 전신계 카르니틴 결핍 카르니틴 합성 장애라는 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며, 전신계 카르니틴 결핍의 결과로 지방질 대사장애와 골격근과 심장근육, 간 내의 지방질 축적이 발생한다. 세포내 지방질이 축적될 경우, 모든 환자들은 점진적인 근육약화를 보인다. 이로인한 적응으로 굶주림과 당뇨병, 고지방 식이등이며 대개 구강으로 추정되는 보충의 L-카르 니틴에 잘 반응한다.
(2) 근질의 카르니틴 결핍 선천적인 카르니틴 대사이상에 따르며, 조직내 카르니틴 수치는 정상이나 골격근으로의 혈청카르니틴 운반과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대개 카르니틴 보완도 아무 효과가 없다.
6. 이용가능한 형태
카르니틴은 여러 다른 형태로 이용가능하다. 항상 L-카르니틴 형태만을 이용하거나 초산이나 프로피올산과의 결합 형태를 이용한다. D 형태의 카르니틴은 이용해선 안된다. L-카르니틴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가격도 가장 저렴하고, 가장 많이 연구된 카르니틴 형태이다.
7. 주요 효용
카르니틴 투여는 많은 질병들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임상연구들은 다양한 심장혈관 질환과 신체적 수행능력 향상, 알츠하이머병, 나이로 인한 노쇠, 신장질환 그리고 혈액투 석에 대한 카르니틴의 사용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카르니틴 보완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은 몇몇 질병들은 아래와 같다. 카르니틴 보완은 에너지 공급원으로서의 지방의 이용을 향상시키므로 지방이용장애와 에너지 생산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질병들을 치료하는데 카르니틴 보완이 도움이 된다.
- 카르니틴 보완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질병들 • 심장혈관 질환 ; 심장에 카르니틴이 부족한 것은 연료펌프가 없는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과 비슷하다. 연료는 충분한데, 그 연료를 엔진으로 보낼 방 법이 없는 것이다. 정상적인 심장은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카르니틴을 저장하며, 심장에 충분한 양의 산소가 공급 되지 않을 경우, 카르니틴 수치가 급격하게 감소한다. 이 산소 부족으로 인해, 심장에서의 에너지 생 산이 감소하며, 앙기나와 심장질환의 발생 위험성은 증가한다. - 심근에 의한 에너지 대사와 산소이용을 향상 - 지방산 이용과 에너지 생산 향상의 결과로 카르니틴은 유독한 지방산 대사물질들의 생성을 막아 준다. 이 화합물들은 세포막을 파괴하기 때문에 심장 세포막 변질로 심장 근육의 수축이상과 불규칙적인 박동 을 초래해서 결국에는 심장조직의 죽음을 야기시키 는 요인이다. • 앙기나 • 협심증 • 급성 심근경색증 • 심근괴사 • 부정맥과 약품에 의한 심중독증 • 가족성의 심내막 섬유탄성증 • 심근병 • 자발성 승모판탈출 • 콜레스테롤 수치 상승 • 트리글리세리드 수치 상승 • 빈 약한 신체적 수행능력 • 알츠하이머병, 노쇠성 우울증, 나이로 인한 기억장애 • 신장질환과 혈액투석 - 당뇨병 • 간질환 • 알콜성 지방간 • 간경변 • 근육 이영양증(dystrophies) • 낮은 정자 수치와 고유운 동성 감소 • 만성 폐색증(CODP) • 에이즈 • 선천적인 아미노산 대사이상 • 유기적 산뇨증 • 글루타르 산뇨증 • 이소 길초산뇨증 • 프로피올 산뇨증 • 메틸말론 산뇨증
(1) 심장혈관 질환
정상적인 심장은 필요한 양 이상의 카르니틴을 저장하며, 심장에 충분한 양의 산소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 카르니틴 수치가 급격하게 감소한다. 이 산소부족으로 인해 심장에서의 에너지 생산이 감소하며 심장질환 발생 위험성이 증가한다. 카르니틴은 심근에 의한 에너지 대사와 산소 이용을 향상시키는 능력을 갖고 있으며 지방산 이용과 에너지 향상의 결과로 유독한 지방산 대사물질들의 생성을 막아 주기도 한다. 이 화합물들은 세포막을 파괴하므로 심장 전체의 세포막의 변질은 심장 근육의 수축이상과 불규칙적인 박동을 초래해서, 결국에는 심장조직의 죽음을 야기시키는 요인이다. 음식섭취에 카르니틴을 보완하면, 심장의 카르니틴 수치를 증가시키고 유독한 지방산 대사 물질들의 생성이 예방될 수 있다. 카르니틴은 유해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시키고, 유익한 콜레스테롤 수치는 증가시킴으로서 혈액지질에도 도움이 된다.
(2) 앙기나
카르니틴 보완은 심장의 카르니틴 수치를 정상화시키고, 심장 근육이 제한된 산소 공급량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수 있도록 한다. 이는 운동 내성이나 심장 기능 같은 앙기나를 호전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3) 심근경색증
회복 심장마비 환자, 심근 경색증 환자들의 빠른 회복에 상당히 유용하다.
(4) 부정맥
연구결과에 의하면 카르니틴을 투여받았던 환자들은 부정맥 치료제 사용이 감소되었다.
(5) 울혈성 심장마비
여러 임상연구결과 카르니틴은 울혈성 심장 마비 환자들의 심장기능을 향상시킨다.
(6) 말초혈관 질환
근육내 에너지 대사의 향상으로 인해 카르니틴은 다리의 혈행을 향상시킨다.
(7) 신체적 수행능력 향상
운동 내성과 신체적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르니틴의 효능은 심장혈관질환 환자들 뿐 아니라 건강한 사람, 운동선수들에게도 카르니틴 보완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심근과 마친가지로, 골격든도 지방산의 효과적인 이용을위해 충분한 양의 카르니틴 공급에 의지한다.
(8) 신장질병과 혈액투석
신장에 대한 손상이나 신장기능의 감소는 카르니틴 대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혈액투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투석도중 다량의 카르니틴이 소실되고 카르니틴 합성이 감소한다. 카르니틴 치료를 받은 투석환자들은 협심증과 투석중에 발생하는 부정맥의 치유, 근육경직과 근육질량의 증가를 포함한 근육증상들의 감소, 만성빈혈의 호전 등 많은 효과를 나타낸다.
(9) 당뇨병
당뇨 환자들의 경우 동맥경화증성 심장혈관질환의 발생위험율이 증가하고 신장과 간 기능이 감소하므로 L-카르니틴을 보완하는 것이 꼭 필요한다. 카르니틴은 또한, 당뇨환자들의 말초혈관 기능과 신경기능을 향상시킨다.
(10) 간질환
카르니틴은 간에서의 지방산 이용과 대사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간내 카르니틴 결핍이 지방침윤을 촉진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카르니틴은 알콜성 지방간을 상당히 억제시킨다. 만성적인 알콜섭취시 카르니틴의 기능이 억제되므로 알콜섭취나 다른 간 손상에 의한 지방산 부과의 증가를 조절하기 위해서 간의 카르니틴 수치를 높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11) 근육 이영양증
골격근의 카르니틴 수치감소로 인해 근육 약화의 원인이 된다.
(12) 낮은 정자수치와 정자의 고유 운동성 감소
인간의 정자에서는 정자의 에너지 대사에 높은 카르니틴 농도가 아주 중요한데, 몇몇 연구들의 결과 정액 내 유리 카르니틴의 수치가 정자의 수치와 고유 운동성과 상반관계를 가지므로 L-카르니틴 투여시 양적, 질적인 면에서 모두 정자의 수치와 고유 운동성을 증가시킨다.
(13) 만성 폐색증 만성적인 호흡 부전증
환자들은 가장 단순한 신체적 활동에도 심각한 영향을 받는데, L-카르니틴을 하루 3번 2g씩 치료하였을 때 운동능력이 대단히 향상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14) 에이즈
L-카르니틴은 근육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대한 에이즈치료 약품의 유독성을 막아주며 면역기능을 향상시킨다. 에이즈로 인해 생겨날 수 있는 전신계 카르니틴 결핍과 카르니틴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에이즈의 경우 카르니틴 보완은 필수적이다.
(15) 선척적인 아미노산 대사 이상
요산사이클과 관련있는 선천적인 대사 이상의 치료에 L-카르니틴의 보완은 상당한 효과를 나타낸다.
(16) 약물 중독증 예방
카르니틴은 아드리아마이신, 발프론산, 카바마제핀 등의 각종 화학치료제로 인한 체내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8. 복용량
L-카르니틴은 대개 하루에 여러번 나누어서 1,500∼4,000mg 복용하는 것이 좋다. 혈액투석환자나 신장부전증 환자등 몇몇 환자들의 경우 양에 있어 신중하게 복용하는 것이 좋다.
9. 안전성
L-카르니틴은 매우 안전하며 인간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서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단지 L-카르니틴 형태로 사용해야 한다. D 형태는 자연적인 L 형태의 카르니틴을 억제한다.
|
156
|
헬스보충식품
|
계란노른자
|

- 계란노른자

- 계란노른자가 좋은 이유.
극심한 근육 운동 후 근육은 경미한 손상을 입게 되고 이 상태에서 단백질 위주의 영양섭취를 하면서 휴식을 취해 주신다면 인체의 근육조직은 더 강한 부하에 적응하기 위해 근세포가 증식되면서 근섬유를 강화시킵니다. 닭의 껍질을 벗기면 나오는 근육의 결을 보셨을 겁니다. 이 근육의 결이 극심한 운동 후 너덜너덜해졌다가 영양섭취와 충분한 휴식후 근육의 결이 질겨지면서 근육부피가 늘어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것이 근육증가와 근력강화의 과정이며 운동, 영양, 휴식의 3대요소가 충분히 충족이 되어야 진행이 됩니다.
이 때 영양의 요소에서 단백질이 근육의 주요 구성성분으로 쓰이게 되는데 계란 흰자의 난단백과 가금류(닭과의 조류)의 고기 등은 상당히 효율적인 단백질 공급원이 됩니다. 이 외에 주요 단백질 공급원으로는 콩과 우유가 있습니다. 전문선수나 고급 트레이너들은 운동에 대한 영양공급을 대단히 중요시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강박관념이 있을 정도로 식습관을 철저히 단백질에 맞춥니다.
계란 흰자는 알부민으로 불리는 난단백의 결정체이며 경제적으로도 영양가치에 비해 싼편이기 때문에 운동하시는 분들이 많이 이용합니다만, 노른자가 콜레스테롤이 높다고 하여 버려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노른자 1개에서 3개까지는 체격이나 운동량에 따라 충분히 허용할 수있는 범위입니다. 계란으로 체중을 늘릴 때에는 15개에서 30개 정도를 먹어야 되는데 삶은 계란보다 맛있고 먹기 좋은 것으로 스크램블을 추천해 드립니다.
네이버 오픈백과 <보디빌더 증량기 식단>에서 인용합니다.
계란 30스크램블:
올리브유 1스푼을 후라이팬에 두른다.
계란 30개를 노른자를 빼고 흰자만 모은다. (이 때 분리에 실패한 노른자 3개까지는 허용됨)
후라이팬이 달면 온도를 중간으로 하고 '흰자30개+a' 를 붓는다.
소금 약간 뿌려주고 마찬가지로 비위가 약한 분은 후추 약간친다.
후라이팬에서 계란이 뭔가 끓는 듯(?) 보글거리면 주걱으로 두어 번 저어준다.
잠시 또 놔 둔다.
또 보글거리며 뭉치는 것 같으면 저어준다.
계란이 불투명한 흰 빛깔로 변하면 약한 불로 놓고 계속 저어 준다.
이 때가 중요하다. 스크램블을 처음하는 분은 '이게 음식이 되겠나? 아무래도 속은 거 같애' 하고 필자를 욕할 수 있지만, 조금만 더 저어 주면 몽글몽글하게 계란이 뭉쳐지면서 먹기 좋게 변한다.
몽글몽글하게 다 뭉쳐질 때쯤 불을 약간만 높여 빠른 손놀림으로 휘릭 여기저기 휘저어 준다.
불을 끄고 잠시 식혀 3등분으로 나눠담는다.
바라시는 뜻 꼭 이루시고 운동과 함께 건강한 삶을...
|
155
|
헬스보충식품
|
타이로신
|

- 타이로신

- 주류 의학(mainstream medicine)은 우리에게 울병(depression)의 가장 좋은 치료는
신경정신 약리학 (psychopharmacology)에서 온다고 가르쳐 준다. 그러나 나의 환자 들에게는 한 병의 타이로신으로 부터 온다. 타이로신은 대부분의 항울제 보다도 효 과적이고 비용도 저렴하며 스트레스를 받을 때 우리모두가 더 잘 사고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드레날린(adrenaline) 및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과 같은 스트레스의 방어 제거(fend off)를 가능하게 하는 신경전달 물질들의 저축량(reserves)은 타이로신에 크게 의존한다. 이 아미노산은 또한 암호를 교대하는(message-relaying) 뇌의 화학물 인 L-도파(L-dopa)를 공급해주는데 이 L-dopa의 결핍은 파킨슨병과 연관이 있다.
TYROSINE AND ACETYL-TYROSINE:THE HAPPY MAKERS
더 많은 양의 타이로신이 있을 수록 우리는 스트레스를 더 잘 다루게(handle) 되고 감 정의 강하를 더욱 잘 저항(resist) 할 수 있게 된다. 기존 영양학자들이 뭐라고 할지 라도 이 아미노산은 혈액에 들어가는 즉시 뇌에 도달하게 된다. 비록 아세틸 L-타이 로신(ALT)라고 불리 우는 형태가 더 확실성(more certainty)을 가지고 뇌쪽으로 이동 하며 이 형태는 내가 주로 사용하는 형태이기도 하다.
하루를 밝게 해줄 단시간의 명랑제(brightener)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나는 최대한 1그램의 ALT를 자주 권장한다. 임상학적 울병에 대한 중요성은 그래도 영양학적 의학에 끼치는 이 아미노산의 더욱 중 요한 기여도(contribution) 이다. 가장 명백한 효과는 무관심(apathy),무기력(lethargy) 및 맥 풀림(listlessness)과 같은 울병 상태에 대한 효과에 있다. 흥분한(agitated), 지나치게 흥분한(overwrought) 형태의 울병에는 트립토판 및 5-히드 록시-트립토판토 이라는 아미노산들이 더욱 효과적이다. 보통 우울한 사람들에게서는 이들 증상들이 같이 존재하므로 이들 두 가지의 아미노산을 같이 섭취하면 치료에 가치 있는 방법이 된다.
정신학적인 향상(lift)에 대한 타이로신의 효과, 심각한 울병의 상태 까지, 를 증명해주 는 연구들에서는 1일 600-2000mg의 용량이 사용되었다. 일부의 사람들에게서는 1주일 이 내에 기분이 좋아졌었다. 아세틸 L-타이로신을 사용하면 용량을 아마도 1일 300mg을 한번 또는 두번 정도로 낮출수 있다. 트립토판과 함께 타이로신은 뇌의 화학 불균형(imbalance)으로 기인하는 애정결핍증(atten tion deficit)/과잉 운동 장해(hyperactivity disorder), 파킨슨병, 갑상선 기능 항진증(h ypothyroidism) 및 코카인 중독으로 부터의 허탈감(withdrawal)등을 포함한 기타 여러 질환 들에게도 효과를 미친다. 떨림(trembling), 경직(rigidity) 및 기타 파킨슨병의 증상들을 조 절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타이로신으로 부터 우리 인체가 만들어 내는 아미노산인 L-dopa를 약물로서 의사들이 주로 처방하지만 여러 연구 결과들은 기타 약물들과 타이로신을 함께 처방 하면 치료법이 개선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가 치료를 관리해야 된다. 큰 용량의 타이로신이 필요하며, L-dopa와 함께 투여 되어서는 안된다.타이로신은 또한 갑상선 호 르몬의 생성에도 자신을 빌려준다. 그리하여 타이로신의 보충은 갑상성 기능 저하증(hypothyr oidism)이 있는 경우 낮은 선 분비를 증가 시킬 수도 있는 이유라고 생각하게 한다. 이것이 좋 은 이유 일수 있으나, 실제적으로타이로신 결핍으로 인해 유발된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서만 가 능하다.
보충 제안(SUPPLEMENT SUGGESTIONS)
울병에 가장 일반적으로 수반하는 것은 피로(fatigue)이다. 그러나 수천명의 사람들은 임상학적으 로 울병의 대상이 아니지만 피로 및 침울함(melancholy) 같은 증상을 흔하게 경험한다. 이러한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1,000-2,000mg의 ALT가 가장 믿을 수 있는 치료법이다. 이보다 높은 용량은 의사의 관리하에서 섭취하어야 하는데 이는 혈압 또는 맥박을 높일 수 있는 페닐알라닌의 주의 사항들(warnings) 또는 편두통(migraines), 흑색종(melanoma), 또는 gliobastoma multiforme와 같은 MAO억제성 약물의 경고 사항들을 역시 지니기 때문이다. 이 아미노산이 이들 형태의 암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이들 종양이 이 아미노산을 섭취한다.
모든 사람들에게 이 경고가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울병으로 부터의 정신적 증대(boost) 또는 향상(lift)을 원하는 경우가 아니고서는 거의 모두가 타이로신을 섭취 할 필요가 없다. 만일 타이로신의 섭취가 필요하다면 올바른 흡수는 섭취방법을 얼마나 잘 알고 있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기타 아미노산들의 존재가 뇌로의 이동을 방해하므로 공복에 비타민 B6 및 C와 함께 섭취하는 것이 제일 좋다.
|
154
|
헬스보충식품
|
글루타민
|

- 글루타민

- 인체의 가장 풍부한 단백질 구성원인 글루타민은 또한 가장 중요할 수 있다. 이 아미노산의
중요성 (significance)의 비밀은 어떠한 아미노산들 보다도 쉽게 (readily) 질소(nitrogen) 를 공급한다는 것이다. 장의 질병을 치료하는 것부터 중독성 충동을 억제 시키는 것 까지, 오로지 몇몇의 성분들 만이 영양학적 의학(nutritional medicine)에 이와 같은 효과를 제공 한다. 여러 가지 질병 및 상해로 부터 효과적으로 회복하기 위해 인체는 특정한 단백질을 필 요로 한다. 어떠한 것이 필요하더라도 모든 것은 L-글루타민의 도움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글루타민은 기타 아미노산의 합성을 위해 쉽게 제공할 수 있는 여분의(extra) 질소 원소를 가 지고 있다. 이 질소 셔틀(nitrogen shuttle)에서 글루타민은 여분의 단백질이 있는곳에서부터 단백질을 가져 다가 가장 필요로 하는 곳으로 단백질을 운반한다. 추가로, 글루타치온, 글루코 사민 및 비타민 B3와 같은 기타 중요한 영양소들을 생성하는데 인체에 도움을 준다.
장의 꿋꿋함(Intestinal Fortitude)
글루타민은 장의 구조적 완전함을 유지하는데 장의 투과성 인자(intestinal permeability factor) 라고 명칭 될 정도 까지 이다. 장의 건강에 이보다 중요한 영양소는 없다. Atkins Center의 중증 장 또는 염증성 대변 상태가 있는 모든 환자들은 건강한 글루타민을 매일 복용한다. 주요 이로움이 소장에 유도(directed) 되어 있으나 결장(colon)(대장(large intestine)) 속에서의 치료를 빠르게 촉진하며 건강한 점액막(mucous membrane)을 재생시킨다. 소화성 궤양을 치료하기 위해서 1일 1.6 그램 만이 약 40년 전에 사용되었을 때, 이 영양소의 유효성 (usefulness)이 인정되었다. 최근에 와서야 연구들이 이 아미노산의 섭취가 화학치료법(chemotherapy)으로 인한 위의 염증을 감소시키고 설사를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수술상의 회복(Surgical Recovery)
수술 후 또는 기타 물리적 스트레스를 받은 후 인체는 다른 필요성 중에서 상처를 치료하고 지방이 없는(lean) 조직을 보존하며 면역계를 보호(nourish) 하기 위한 글루타민을 충분히 합성하지 못하게 된다. 저장되어 있는 것들 모두 소모한 후 인체는 근육이나 branched-chain 아미노산으로부터 가져와 야 한다. 글루타민 보충제를 공급 함으로서 이들 모두의 합병증(complication)을 피할 수 있으며, 아 미노산의 농도를 정상화 하고, 상처와 화상의 치료를 촉진하고, 전체적인 수술상의 회복 (surgical r ecovery)이 개선된다. 글루타민을 포함한 점적 영양보급 (intravenous feedings)을 받은 사람들은 보다 적은 합병증이 생겼으므로 퇴원을 빨리 하게 되어 $21,000 이나 적은 병원비를 지불하였다.
면역계의 강습(Immune System Assaults)
면역계의 주요 에너지 공급원은 글루타민이다. 항상 높은 농도로 존재하지만 스트레스, 외상 또는 상처 를 입은 경우 이 원료의 필요성이 급증한다. 예를 들어 본다면, 여러 형태의 암은 인체에 글루타민을 고 갈시켜 이 질환을 앓는 사람들이 지방이 없는 조직 및 근육의 질량를 잃게 되는 이유중의 하나이다. 대표 적인 전암 증상의 하나인 결장의 돌기는 주위 건강한 조직 보다 훨씬 낮은 글루타민의 함량을 지닌다. 동 물 실험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이 아미노산의 보충은 화학요법의 독성 부작용으로부터 간을 보호하고 특정 한 화학요법 약품들의 암 제거(cancer-killing) 능력을 강화 시킬 수도 있다. 바이러스 감염도 면역계의 글 루타민을 고갈시킨다. 저장량이 낮은 경우, 우리 면역 활성의 일반적인 수치를 나타내는 T-세포들의 수가 감소하며 독성 물질을 공격하는 대식세포(macrophages)라고 불리 우는 백혈구는 힘을 잃게 된다. 그러나 L- 글루타민을 매일 20-40그램 정도를 투여하면 골수 이식을 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 이 감염에 대한 틀별한 보호(safeguard)를 제공해주는 등 면역계가 반응하게 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들 이유들로 인해 글루타민은 에이즈와 바이러성 만성(chronic) 피로 증후군의 필수적인 치료제이다.
간 질환들(Liver Diseases)
글루타민은 간에서 지방이 싸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간경화(cirrhosis)의 치료를 도와준다. 그러나 간 질환의 말기에는 이러한 이점(advantage)은 사라지는데 그 이유는 글루타민을 장기(organ)가 효과적으로 수용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중독(Addictions)
조직 재생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기 훨씬 이전에 나는 갈망(cravings) 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글루 타민을 사용하였었다. 너무도 많은 사람들을 영양학적 의학에 종사 하도록 영감을 준 Roger Williams 의학박 사로 부터 이 착상(idea)을 얻었다. 그는 술을 마시고 싶은 욕구를 억제하는데 글루타민을 사용하는데 상당히 효과적 이었다. 한 연구에 참여한 75%의 사람들에게서 12그램(약 3 차스푼)의 1일 용량이 효과가 있었다. 이 치료법을 나의 의술에 적응시켜 단 것을 갈망하는 나의 많은 환자들에게 아미노산을 사용해 보기로 결정하였다. 효과가 있었으며 당신에게도 역시 효과가 있을 것이다. 설탕 충동이 일어 날 때 1-2그램의 글루타민을 가급적 이면 heavy cream 및 아주 조금의 nonsugar 감미료와 함께 섭취하여라. 갑작스런 단것을 먹고자 하는 욕구가 사라 질 것이다. 이 효과에 대해서는 내가 처방하였던 8,000명의 Atkins Center의 환자들에게 문의 하면 될 것이다. 얼마전에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의 연구 팀장이 설탕 갈망에 대한 글루타민의 영향을 또한 인정한 (acknowledged)것을 유쾌하게 읽었다.
비만(Obesity)
글루타민이 다른 기전을 통하여 체중 감량을 도와 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지방을 연소하는데 기여하여 지방 이 없는 조직을 보존하는 것 이외에도 지방 대사(fat metabolism)에 의해서 생성되는 찌꺼기들 (waste products) 을 인체와 간에서 제거하는데 이 아미노산이 도움을 준다. 과감하게 열량 섭취를 줄였을 때 쉽게(readily) 이용 가능한(available) 비탄수화물(carbohydrate-free) 에너지 공급원이기도 하다.
정신의 불안정(Mental Instability)
글루타민은 흥분(excitement)과 무기력증(lethargy)의 좋은 천연 평형기(balancer)이다. 글루타민은 뇌의 주요 에너지 공급원이며 여러 신경전달 물질(neurotransmitters)의 중요한 구성원(building block)이다. 비록 일부 비 평가(critics)들이 인체가 글루타민을 뇌세포를 몹시(overly) 자극 하고 흥분(agitate) 시키는 excitotoxin 이라 고 불리 우는 글루타민산으로 전환한다는 것은 올바르게 기록 하였으나 글루타민이 지나치게 활동적인(hyperacti ve) 세포들을 진정시키는 천연 정신 진정제 (tranquilizer) 인 GABA로도 전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데에는 실패(fail) 하였다. 자연은 영리하게 인체가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GABA 또는 글루타민산으로 전환하게 한다.
회복(Exercise Recovery)
운동 근육 조직의 재생 및 보존은 역기 선수(weight lifters) 및 기타 운동선수들 간에 글루타민을 유명한 보충제 (supplement)로 만든다. 장기간의 운동은 근육의 미세한 (microscopic) 상해를 입히며 길게는 운동 후 2주 동안이 나 인체의 글루타민 저장량을 감소시킨다. 보충제를 섭취하는 것이 글루타민의 공급을 보충(replenishes)하고 그 필요성을 충족시킨다. 그러나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여분의 질소는 인체가 더 많은 지방이 없는 조직을 생성하고 물리적인 활동(physicalactivity) 중에 사용하기 위해 근육이나 간에 저장되는 탄수화물의 일종인 글리코겐의 비축 량을 채우는데 도움을 준다. 저장된 글리코겐이 많을수록 에너지를 위한 근육 조직의 분해는 감소한다. 아미노산은 또한 근육 성장을 자극 할 수 있는 성장호르몬의 방출을 촉진한다. 이 보충제의 사용 만으로 미스터 유니버스가 되 려는 것이 목적이라면 기대하지 마시라. 만일 다른 의학적 이유로 인해 글루타민을 섭취하고 있다면 근육이 울퉁 불퉁 튀어 나오는 것에 대해서 걱정 할 필요가 없다.
보충제안(Supplement Suggestions)
아미노산의 섭취에 있어서 분말화된 L-글루타민이 가장 쉽고 경제적인 방법이다. 매일 5g 과 동일한 한 티스푼이 역 도(weight-lifting) 프로그램에서 최대한의 근육을 얻는데 유용하다.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훨씬 더 많은 량을 필요로 하며 질병이 심각할수록 더욱 많은 양을 섭취하여야 한다. 면역계를 자극 하기 위해서는 1일 5에서 20그램을 필요로 한다. 알코올이나 당분(sugar)의 갈망을 없애기 위해서는 2에서 3그램 정도가 충분하다. 이들에 대한 욕구가 생기는 즉시 섭취하면 된다. 염증성 대변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또는 새는 장 증후군(leaky gut syndro me)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1일 40그램 까지 처방 하였다. 상처 치료 또는 장기간의 입원에서 회복을 하기 위해서는 비 슷한 양이 필요할 수 있다. 이들 용량은 매우 안전하다. 나의 환자들 중에 부작용이 생긴 경우는 없었다.
|
153
|
헬스보충식품
|
옥타코사놀
|

- 옥타코사놀

1.옥타코사놀이란?
옥타코사놀은 계절, 지역에 따라 수만리 여정을 쉬지 않고 날아가는 철새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알려졌으며, 근육기능개선,기초대사 증 진의 지구력증강에 도움을 주 는 생리활성물질이다. 옥타코사놀은 소맥배아유, 알팔파, 사과, 포도과피,쌀겨 등에 극소량 함유된 물질로 미국 일리노이 대학의 크래톤 박사에 의해 생리활성물 질로 발견되었다. 소맥배아유 중에 함유된 비타민 E이외의 생리활성 물질로 처음 발견하 였고 수십년간의 연구 끝에 옥타코사놀은 근육 및 인체의 에너지 생성에 촉매적인 다양한 작용을 한다"고 밝혔다. 20년 동안 42개 항목의 평가시험에 의해 옥타코사놀 은 에너지를 방출 하는 활성인자로써 체력증진, 근육기능의 향상, 기초대사의 향상 등에 주요한 영향을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최소한 이의 효능을 얻기 위해서는 6주간의 지속적인 섭취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2.옥타코사놀의 형태
옥타코사놀은 긴 탄소사슬에 알콜기를 가진 왁스류의 물질로 분자식은 CH3(CH2)26CH2OH 인 백색의 결정으로 식물잎의 여러 기능에 대해 보호막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3.옥타코사놀의 효능
옥타코사놀은 극히 미량으로 생리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이고 천연계에도 미량으로밖에 존 재하지 않기 때문에 추출하기 어려워 가격도 고가이다. 크레톤 박사는 옥타코사놀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출판하고 다음과 같은 기능성을 보고하였다.
(1) 내구력, 정력, 체력의 증진 (2) 반사신경, 예민성의 향상 (3) 스트레스의 영향에 대한 저항성의 향상 (4) 성호르몬의 자극, 근육경련의 감소 (5) 심장근육을 포함한 근육기능의 향상 (6) 수축기 혈압의 저하 (7) 기초대사율의 향상 종합하여 결론하면 "옥타코사놀은 촉매작용을 통해 근육 및 인체에서 에너지를 생성시키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152
|
헬스보충식품
|
철분
|

- 철분

- 철분은 혈액의 주요 단백질인 헤모글로빈과 미오글로빈을 구성하며 에너지 형성에 중요한 전자
전달 물질인 시토크롬을 구성한다. 또한 면역 체계, 효소 합성, 콜라겐 합성, 간에서 해독 작용 등의 여러 가지 역할을 한다. 헤모글로빈 속에는 철이 함유되는데 이 철은 헤모글로빈의 산소와 결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인체에는 약 42g의 철분이 있는데, 그 4분의 3은 헤모글로빈의 구성요소로서 적혈구 속에 함유되어서 전신을 맴돌고 있다. 철분이 부족되면 헤모글로빈을 만들 수 없어서 적혈구도 보통보다 작아지게 되며 안색이 나빠지고, 신체도 쉽게 피로해지며, 아침에는 힘이 들고 저녁이 되면 발이 붓게 된다. 어른은 1일 약 1mg의 철이 요나 땀과 함께 배설된다. 또 여성 생리에 의하여 잃어지는 철을 1일당으로 환산하게 되면 0.5~1.0mg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여성은 생리시의 출혈에 의하여 철을 잃게 되기 때문에 철결핍성빈혈이 되기가 쉽다. 또 임신이나 출산에 즈음하여 철분의 균형을 잃게 되는 수도 있다. 또 최근에는 젊은 여성들이 잘못된 다이어트법에 의하여 철결핍증을 일으키는 일도 많다. 철의 결핍은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좀처럼 빈혈을 알아차리지 못하여 악화되는 일이 많다. 철제를 복용하는 것으로 증상이 사라지지만 재발되는 수도 많다.
철은 헴철과 비헴철로 나눌수 있는데, 헴철은 비 헴철 보다 흡수율이 네배로 높다. 헴철은 육류, 생선, 가금류 등 동물성 식품에 들어있으며, 비헴 철은 동물성 식품과 콩, 진한 녹색 채소등의 식물성 식품에 들어있다. 식사요법으로는 고기류, 간, 시금치, 해조루, 참깨, 콩 등 철분을 많이 함유한 식품을 다량으 로 취하는 것인데, 철의 흡수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어서 그리 간단치가 않다. 식물성식품 속에 철의 함유율이 다소 높은 것이 몇 개는 있다. 그러나 철분은 같이 곁들여 먹는 것에 의 하여 흡수의 비율이 좌우된다. 동물성단백질, 비타민C는 철분의 흡수를 좋게 하지만 녹차는 그 속에 탄닌 이 철과 결합하기 때문에 흡수를 방해한다. 현재에는 그다지 사용하지 않게 된 쇠냄비나 쇠솥으로 부터는 철분이 녹아 나와서 철의 보급에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 빈혈은 철결핍 이외에도 여러 가지로 중 대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일이 많아서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된다. 철 결핍은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영양 문제이며 우리나라에서도 가장 큰 문제인데, 철 결핍 증상은 세단계로 구분되어진다. 초기 단계에는 기능 적 손상이 없는 저장량의 감소이며, 그 다음 단계는 생화학적 변화로 철 이동 단백질의 포화도의 저하이고, 마지막 단계가 철결핍성 빈혈이며, 혈중 헤모글로빈 수준이 정상치 아래로 감소되고, 혈색소 농도가 낮고 크기가 작은 적혈구 세포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 헴철의 기능성
헴철은 소 등의 핼액 속 헤모글로빈으로 제조한다. 헤모글로빈은 분자량 약 6만4천5백의 단백질로 헴과 글로 빈으로 되어 있는데, 그 1분자 속에 4분자의 프로트헴이 있고 철함량은 약 0.3%로 되어 있다. 이것을 단백분 해효소를 사용하여 단백질 부분(글로빈)을 분해하는 것으로 철함량으로서 1.0~1.3% 정도까지는 높인다. 더욱 탈취나 정제과정을 거쳐서 헴철로 한다. 즉, 헴철은 철분으로서 헤모글로빈의 4배의 농도에 해당된다. 이 시점에서의 단백질 함량은 아직 80%정도 있어서 더욱 단백질을 분해하여 초지속적으로 프로트헴단체로 까 지 하는 일도 기술적으로는 가능하다. 그러나 단백질의 공존이 헴철의 천연가공식품이기 때문에 다른 식품첨 가물의 철화합물이나 의약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경구철제하고는 철결핍성빈혈의 예방이나 증상의 개선을 위 하여 섭취된다고 하는 점에서는 같지만 그 흡수되는 방법과 안전성에는 커다란 차이가있다. 헴철과 비헴철(유 기, 무기의 철화합물)의 커다란 장점은 헴철에서는, ①흡수되기 쉽다. ②흡수효율이 좋다③부작용이 적다.의 세가지 점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서로 다른 점은 흡수기구의 차이에 의하는 바가 커서 비헴철의 경우는 경구적으로 섭취된 것의 70%가 량이 위산에 의하여 유리의 2가 또는 3가의 철로 변화한다. 또한 3가의 철은 2가로 환원된 후에 일부가 장관 의 표면부근에서 아포트랜스페린(단백질의 일종)과 결합하여 장관내로 받아들여진다. 이 때문에 위산의 다과 등에 의하여 철흡수가 크게 변화한다. 또 비헴철은 탄산, 인산, 수산, 나아가서는 식이섬유나 피틴산으로도 철분흡수가 저해된다. 식물성 식품속의 철이 흡수되가 어려운 이유이다. 반대로 비타민C등은 흡수를 촉진시 키는 작용을 해 준다.
한편 헴철은 장관내에 헴의 형태로 그대로 흡수된다. 장관점막세포 속에서 키산틴옥시다아제 라고 하는 효소 에 의하여 분해되어 2가의 철로 되어서 비헴철과 마찬가지로 혈액내에 옮겨져서 트랜스페린(단백질의 일종)과 결합하여 골수, 간장 등으로 운반된다. 헴철은 헴의 형태인 채로 흡수되기 때문에 흡수저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비헴철처럼 소화기를 자극해서 오심, 명치언저리가 쓰리고 아픈 증세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는 일 은 전혀 없다.
|
151
|
헬스보충식품
|
포도씨유
|

- 포도씨유

- 포도씨유의 주요 구성 성분은 리놀레산, 토코페롤, 카테친이다
* 기능성
A. 리놀레산 (Linoleic acid) 리놀레산은 필수 지방산으로 그 생리적 효과는 수없이 많다. 1.리놀레산은 동물세포 지방산의 10-30%를 차지하며,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의 성분으로 막의 성질에 관여한다. 2.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을 저하시켜 동맥 경화의 진행을 예방한다. 3.혈액 응고를 방지하므로 심근경색과 뇌졸증을 예방한다. 4.혈관을 확장 시킴으로 고혈압을 예방한다. 5.부신피질 호르몬의 생성에 관계하여 스트레스를 막는 호르몬과 남성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 하여 체력을 강하게 해준다. 6.비만의 방지 및 해소의 역할을 한다.
B. a-토코페롤 비타민 B중 가장 강한 항산화 기능을 갖고 있다. 포도씨 기름에 함유되어있는 양은 다른 기름(대두유, 옥배유)보다 약 70배 정도 많은 50mg/100g 이다. a-토코페롤은 기름의 산화방지 및 노화 방지, 활력증진에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띠고 있는 천 연 항산화제로 밝혀진 물질이다. 또한 대기오염으로부터 폐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혈관 확장제, 항응 혈제로서 매우 중요하다.
C. 카테친 카테친은 a-토코페롤보다 16.5배의 높은 항산화력(산화는 노화의 주요인이다)을 갖는다. 또한 항암 작용을 갖고 있으며, 혈중 유익한 콜레스테롤은 증가시키고, 해로운 콜레스테롤은 증가시키는 기능을 통해 고혈압, 동맥 경화의 예방과 치료의 역할을 한다.
D. 스테롤류 스테롤류를 사람이 섭취했을 때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도씨유 기름에 는 약 291-574mg/100g 정도의 스테롤을 함유하고 있다. 대두유에는 65mg/100g정도가 포함되어 있다.
* 효능, 효과
A. 동맥 경화, 고혈압, 고지혈증 리놀레산과 카테친성분으로 말미암아 혈청내 콜레스테롤치를 낮추어 줌으로서 동맥경화, 고혈압, 고지혈증의 영양개선에 높게 작용하는 영양소입니다.
B. 남성 호르몬 작용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성분으로 막의 성질에 관여를 하며 부신피질호르몬의 생성에 관여하여 스트레스를 막아주는 호르몬과 그 밖에 남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주어 체력을 강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노 화방지나 활력증진에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띄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이다.
C. 혈관 확장, 폐 강장 비타민A의 작용을 항진시켜줌으로서 대기오염으로부터 오는 폐의 건강을 보호하며 더 나아가 혈관의 확장작용 과 항 응혈제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소입니다
|
150
|
헬스보충식품
|
글루코만난(곤약)
|

- 글루코만난(곤약)

- 곤약(崑蒻)은 토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구약나물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곤약이라 함은 알줄기를 가리키며 봄에 잎이 나오고 잎은 가을까지 생장하다가 겨울에는 시들어 버린다. 곤약은 수분 92%, 탄수화물 6.5%, 단백질 1%, 지방 0.1%와 기타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것의 탄수화물은 다른 감자류와는 리 비소화성의 헤테로다당류(Heteropolysaccharide)에 속한 곤약 만난(Konjak mannan)으로 가수분해하면 포도당 1에 대해서 만노오스 2의 비율로 생성되는 다당류가 된다.
글루코만난(Glucomannan)은 D-글루코오스와 D-만노오스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는 다당류(多糖類)의 총칭으로 위에서 말한 곤약 만난과 뜻을 같이 한다.
난초과 식물, 곤약, 잔디의 덩이줄기 속에 포함되어 있으며 겉씨 식물의 목질부에도 3∼5%함유되어 있고 셀룰로오스와 공존하며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D-갈락토오스: D-글루코오스: D-만노오스의 비가 2:10:30이다.
흡수성이 높은 알칼리성으로서 물을 흡수하여 점착성을 지니며 가열하면 응고하여 반투명의 탄력성이 풍부한 겔을 형성하는 성질이 있는데 이 성질을 이용하여 식용 곤약을 만든다. 식용 곤약은 수분이 약 97%의 저에너지 식품이므로 최근 비만 방지 식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가공방법에 따라 분말, 과자, 묵, 국수 등으로 제조하여 다이어트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약 2% 포함되어 있는 글루코만난은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값을 낮추는 작용을 하고, 일종의 식이섬유로서 장내에서 정장작용을 하며 쾌변을 가져오는 식품이 다.식용 곤약 자체는 맛이 없지만 국물 속에서 그 맛을 흡수한 텍스쳐(Texture) 와 맛을 내는 요리에 이용한다.
|